원리금균등분할상환 VS원금균등상환 VS만기일시상환
안녕하세요.
담보대출 전문 상담사 블로그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. 요즘에는 워낙에 광고 목적으로만 운영되는 블로그가 많다 보니 정보를 찾는 데 있어 답답한 경우가 많으실 거라 생각되는데요..
주택 담보대출에 대한 궁금증이 있는 분들이라면 제 블로그를 통해 보다 유익하게 금융계획을 세워 보시면 좋겠습니다.
이번 시간에서는 대출을 받을 때 결정하게 되는 상환방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.. 우리가 일반적으로 대출을 상환할 때 크게 4가지 정도를 통해 선택하게 됩니다. 물론 선택이 제한적인 경우도 있겠지만 우리가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그렇다 보니 꼭 알고 월 불입액에 있어 계산해 보셔야겠습니다.
1. 원리금균등분할상환 방식
◈ 기준 - 상환기간 만기일까지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대출 기간으로 금리를 계산하여 동일한 납부금액으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.
◈ 장점 - 상환금액이 매달 일정하여 계획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하며, 이는 곧 일정 급여를 받는 직장인 분들에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.
◈ 단점 - 총 대출기간 동안 일정금액으로 원리금 계산을 하다 보니 초기 납부금액의 이자 비율이 높아, 중도 상환 시 불리할 수 있습니다.
2.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
◈ 기준 - 대출 원금을 상환기간동일 일정하게 나누어 갚는 방식이며, 이자는 매달 줄어드는 이자에 적용되어 합하여 총 납부금액이 산정되는 방식입니다.
◈ 장점 - 원리금균등분할 방식 대비 총 기간 동안 납부하는 이자가 적으며, 기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원금을 납부하기 때문에 중도상환 시 큰 무리가 없습니다.
◈ 단점 - 월 불입액이 체감식으로 줄어드는 방식이라 초기 불입액이 다소 크기 때문에 직장인 분들에게는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겠습니다.
3. 만기일시상환방식
◈ 기준 - 상환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하다 만기 시 원금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.
◈ 장점 - 담보대출과 같이 대출금액이 큰 경우 월 불입액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◈ 단점 - 만기 시 원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 다소 커지게 됩니다.
4. 거치식 상환방식
◈ 기준 - 상환기간 중 일부를 이자만 납부, 남은 기간을 원리금으로 납부하는 방식입니다.
◈ 장점 - 탄력적으로 상환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.
◈ 다른 상환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부분이라 단점이 될 부분이 있다면 예외적인 거치식을 사용할 필요는 없겠습니다.
이번 시간을 통해 대출 상환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. 신용대출이나 담보대출 등 대출 상환방법을 잘 못 결정해서 두고두고 후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꼭 체크하고 본인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'금융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규제]토지거래허가제 및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는 무엇인가 (0) | 2024.07.10 |
---|---|
아파트담보대출 규제 DSR, DTI, LTV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4.06.26 |
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보는법(대법원등기소 발급) (0) | 2024.06.12 |
주택담보대출 스트레스 DSR 제도 도입 이제는 준비해야 한다 (0) | 2024.06.10 |
사업자등록증 업종 종목 추가 변경(인터넷 홈택스 이용방법) (0) | 2024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