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타상식

전세사기 피해 예방법 전세계약시 주의사항 확인하자

금융길잡이 2024. 11. 20. 18:34
전세사기 피해 예방법 전세계약 시 주의사항 확인하자

 

 

안녕하세요. 몇 해 전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전세 사기 소식은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던 걸로 기억합니다. 그만큼 열심히 모아 전세 보증금으로 이용했는데..

그런 사기로 인해 피해를 봤다면.. 아마 저라도 제정신이 아닐 거 같습니다.

사실 그전까지만 해도 관습적으로 이루어졌던 계약관계였기에 공인중개사를 믿고 진행하는 데 있어 큰 무리가 없었던 게 사실이지만.. 이제는 우리 스스로가 내 돈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꼭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
 


 

오늘 해당 포스팅을 통해 전세 계약 시 어떤 부분들을 체크해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1. 등기부등본 체크

 

등기부등본의 경우 매매, 전세, 월세 등 그 집에 대한 소유권과 그 밖의 권리를 체크할 수 있는 자료이기에 반드시 체크가 필요합니다.

사실 공인중개사 말만 듣고 대충 보는 경우가 많은데.. 자세히 들여다보면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표제부, 갑구, 을구 내용에 있어 빠짐없이 보고 궁금한 부분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겠습니다.

 

 

2. 전입세대 열람원 체크

 

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, 말 그대로 그 집에 누가 전입신고를 하고 거주하고 있느냐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소유자가 아닌 경우라도 전입신고를 해놓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, 해당 내용은 이중 계약에 있어 예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.

번거롭고 난감한 상황이더라도 꼭 체크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
 

 

3. 계약서 작성 및 진행단계 체크

 

계약금, 중도금, 잔금은 반드시 집주인의 명의 통장으로 이체를 해야 하며, 공인 중개사 확인을 통해 영수증과 자료를 남겨 놓는 게 좋습니다.

또한 계약서 작성 시 특약사항이 많아도 상관없으니 세세하게 변수를 예방할 내용들도 꼼꼼하게 작성하여 추후에 발생되는 이런저런 상황들을 예방하는 게 좋습니다.

특히나 특약사항이 대항력 외 권리를 갖고 있는 내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소한 것도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.

 

 

4. 주택임대차보호법 내용 체크

 

사실 중요한 게 아닐 수 있으며, 법적인 진행이 된다면 순리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다만 본인이 임차인으로써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모른 체 계약을 하고 거주를 한다면 억울한 상황일 때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 번쯤은 보시는 게 좋습니다.

또한 자료를 모아 확보해 놓는 게 좋습니다.

예를 들면 필요비나 유익비 등 낯선 용어들이 있기 때문에 체크 포인트입니다~!

 

 

5. 전세보증보험 가입 및 공인중개사 자격 확인

 

설마 하는 상황에서 꼭 사고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. 믿기 어렵겠지만 실제 공인중개사가 아닌 중개보조원이 임의대로 계약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하시길 바라겠고요~ 아울러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꼭 하셔야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.


 

지금까지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전세계약 시 체크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 참고하시면 좋겠네요^^

 

 

반응형